안녕하세요. 🥬
오늘은 Git 관련 에러를 잡는 포스팅합니다.
사실 이건 저를 위한 포스팅인데요, 제가 이걸 하~~~도 많이 까먹어서 내 블로그에 적어두자 하고 적습니다...
그만치 git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많이 익숙하시기도 하고, 처음에 .gitignore하려면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.
.gitignore 설정하기
.gitingore는 github에 올릴 때 다들 올리고 싶지 않은 파일 같은 것이 있잖아요.
그것들은 안올릴 수 있게끔 관리하는 파일입니다.
git을 만들면 자동적으로 생기기도 하는데, 수동으로 넣고 싶은 파일이 있다면 활용하시면 됩니다.
1. file을 올리고 싶지 않을 때
저 같은 경우는 .idea폴더는 올리고 싶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어요. 그럴 때는,
.idea/
이런 식으로 뒤에 /를 붙이면 그 하위 폴더까지 영향을 미쳐서 .idea의 이름을 가진 폴더는 올라가지 않게 됩니다.
2. 특정 확장명을 가진 폴더를 올리고 싶지 않을 때
만약 .txt라는 확장명을 가진 폴더를 올리고 싶지 않는 경우라면,
*.txt
이렇게 *를 사용하시면 됩니다.
만약 어떠한 특정 파일을 올리고 싶지 않은 경우라면, 그냥 그 파일의 이름을 적으면 됩니다.
이미 올라간 파일에 대해서 적용하기
이미 해당 파일이 올라간 경우라면, 이런 식으로 적용하기 전에 메세지를 한 번 더 입력해줘야 하는데요.
git rm -r --cached .
바로 이 메세지입니다. (이거 진짜 잘 잊어먹어요.. 바로 나 😇)
이를 통해서 캐시되어 있는 값까지 지운 다음에,
git add .
를 하고 커밋 메시지를 입력하고 푸쉬하시면 됩니다.
그럼 우리 한 단계 더 성장해보자구요 !
감사합니다.
'Programming > Error 잡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 Error] ! [rejected] main -> main (non-fast-forward) error: failed to push some refs to (0) | 2023.01.27 |
---|